박성환(아마도예술공간 책임큐레이터)

 

2008, 안민욱은 현대사회에서 예술의 쓸모에 대해 고민하며 예술가란 어떻게 되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안고 가상 예술 회사 아르스를 만들었다. 이후 작가는 아르스와 짧은 기간 동안이지만 공존하며 일상과 닿아있는 퍼포먼스를 벌여 '사적인 공적 공간'에서 ()''()', '예술을 위한 장''일상'을 겹겹이 반전시켰고 공공 속으로 녹아 들어갔다. 소속작가 안민욱을 미술계에 독립시킨 아르스는 휴업상태가 되었고, 안민욱은 공적인 사적 공간에서 오프 뮤지엄적인 시도와, 공과 개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전개하며 예술의 프레임을 확장시켰고, 이 과정에서 관객을 작업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인다.

 

작가의 활동은 능동적 관객의 참여를 바탕으로 '직접행동'을 취지로 하는 퍼포먼스 중심의 비물질적 작업과 전시기획 혹은 전시장의 특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개념적인 작업이 상황 특정적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남아 있는 것은 전시에 사용된 조형물의 일부, 사진기록이나 인쇄물, 당시 참여자와 목격자의 기억 등 단편적으로만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더욱 개인전 구성을 고민하게 하였다.

 

헛된 고민이었다. 작가는 종종 전시가 벌어지는 장소의 의미와 상황을 인용하는데, 그것은 다른 가능성을 알아보고 본질을 다르게 끌어내기 위한 수단이다. 안민욱은 주제를 찾아 머릿속을 배회하지 않아도 상황에 놓인 조건들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접근하게 되는 우발성을 자신만의 필연성으로 끌고 온다. 이 때 발생하는 구조감은 순전히 대상을 생각해야만 하는 비자발성이란 조건에서 발생하기에 의외성을 품은 유쾌한 공간의 흐름이 만들어진다. 일상을 작품으로 되게 만드는 힘이 그것이다. 그렇게 이전에 아마도예술공간에서 하지 않은, 앞으로도 아마도예술공간에서 하지 않을 전시를 만들기 위한 논의가 시작 되었다.

 

우리는 아르스를 재가동 시키기로 한다. 공적 영역에서의 조건들을 비틀며 만들어냈던 특유의 위트를 바탕으로 한 아르스. 작가 개인에게 있어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다시금 개화한 안민욱. 이 둘을 대면시킴으로써 부감되는 작가의 특성을 더욱 명확히 구분지으려 했다. 그렇게 기획된 전시 <아르스도>는 작가의 과거와 현재를 거듭한 시간 여행이며, 외부상태(안민욱)과 내부상태(아르스)가 모두 존재하는 평행세계이다. 물론 둘은 동등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예술적 성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동등한 가능성의 결과를 기대할 수는 있지만, 우리는 동등한 가능성의 결과가 아닌 발생하고 있는 두가지 현상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

 

안민욱의 작품처럼 장소와 개념의 이전이 불가능한 작품들은 모두 미술관 비판으로서의 측면을 갖고 있는데, 물론 미술관측도 이러한 논점의 등장에 민감해 1970년대 이후에는 오프 뮤지엄에서 전개된 미술작품을 어떻게 회수하고 가치를 판단해 나가는지가 미술관의 중요한 책무가 되었으나 아직까지도 오프 뮤지엄의 미술관화는 좀처럼 현실화 되고 있지 않다. 형식과 제도를 이용 하지만 그 자체를 신뢰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의 형식이나 제도가 따라잡을 수 없게 된다면, 작가는 무리하게 맞추는 것이 아니라 형식을 부수거나 적어도 다시 묻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아르스는 유일한 소속작가인 안민욱 개인을 위한 뮤지엄 알스지엄을 만들어 제공하며 미술관과 대안공간이란 공적 영역을 비트는 위트를 보인다.

 

반면 안민욱은 알스지엄에 전시된 작품들로 개인의 서사를 풀어낸다. 젊은 작가의 이러한 회고에는 전시가 끝나면 잠정적으로 작업을 이루던 조건들은 해체되기 마련인 비물질의 작업을 발화했던 조건들과 분리 시켰을 때 어떠한 형태로 제도권 안에 편입시킬 수 있는지, 그것은 어느 지점에서 예술이라고 불리울 수 있는지, 모든 개념적 작업을 하는 작가들의 숙명과도 같은 고민이 담겨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알스지엄이 작품으로서 작동하기 시작하는 지점은 오히려 확고하다고 볼 수 있다. 왜 아르스는 안민욱을 위해 알스지엄을 개관하였으며, 왜 안민욱은 알스지엄을 고전회화전시 형태를 차용하여 풀어냈는지 엮이는 순간 아마도예술인 것에 방점을 찍는다.

 

<아르스도>는 작가 안민욱을 통해 전시의 내용에 접속되기보다 전시의 내용을 바라보는 것으로 작가에게 다가가게 되는 역색인(inverted index) 구조의 전시인 것이다. 아르스를 현재의 상황으로 다시 불러들이는 것은 일상과 예술의 관계, 공개(公個)적 미술가로서의 안민욱의 경계를 다시 묻기 위해서도 실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Park Sung-hwan(Amado Art Lab Curator)  

 

In 2008, Minwook An established a hypothetical art company ars, addressing questions about practicality of art and requisites to being an artist in the current society. For a brief period, An and ars co-presented several performance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in an attempt to reverse ambivalent notional layers such as domains for art and an ordinary environment, or publicity and individuality. The company has been dormant since Ans independence, while An has extended his artistic territory and consequently attracted viewers into his course of creation by experimenting off-museum attempts within a public-private structure and by opening discourses about the boundary of publicity and individuality.

 

Since Ans major activities are either non-material works based upon participatory performances which encourage viewers to take an actual action, or conceptual works whose situation-specific elements stem from distinctive qualities of given exhibition spaces and curatorial intentions, his documents of the previous works contain only some parts of installations, photographic footage, printed materials, or memories of the participants and viewers which are too fragmental to suggest the entire context of his practice. Considering this practical limit, it seemed to be natural to have apprehension at constructing a basic format of the exhibition.

 

It turned out to be unnecessary concern. Minwook An often adopts an exhibition spaces background meanings and situations as a reference; this approach efficiently opens diverse opportunities and interpretations of inherent properties of the space. Without wandering in search for subjects, he shifts contingency into his own justification by sensitively responding to conditions of the designated circumstances. At this moment, this dependency upon the targets enables An to create a certain structure whose pleasant flow conveys unexpected effects. This is his force of transforming daily life into art. Thus, we could begin our discussion about constructing the exhibition which has not happened before at the Amado Art Space and will not be ever again.

 

We decided to reactivate ars. ars has its peculiar wit caused by deliberately distorting conditions of public areas. Minwook An is re-acknowledged by his investigation into what art signifies for each artist. As the artists unique characteristics can be overlooked when these twoars and Minwook Anare juxtaposed, this exhibition attempts to clearly separate An from ars. In this context, <arsDO> is not only a time-travel repeating the artists past and present, but a parallel world where the interior state(ars) and the external state(Minwook An) coexist. As they have equivalent value, we might expect a possibility of the same artistic achievements of the two agents, however we ought to pay more attention to two different appearing phenomena rather than the even results.

 

In terms of art trends, works whose space and concept are unchangeable often take the critical stance towards museum-oriented presentations, and Ans practice shares this attitude. Although museums have sensitively responded to this issue and they admitted that one of their responsibilities was collecting these off-museum artworks and valuing them since the 1970s, delivering off-museums into museums has barely realized. When the reliability in conventional systems decreases despite their availability and the systems no longer embrace emerging ideas, artists are inevitably demanded to deconstruct or re-examine the existing frames instead of artificially adjusting themselves to the norms. Accordingly, ars humorously twists the stereotypical border dividing museums and alternative spaces by providing the museum, arseum, to its only member, Minwook An.

 

On the other hand, An unfolds his private narratives in the works displayed at arseum. This retrospective point of view employed by the young artist ultimately reveals every conceptual artists unavoidable inquiries; is it reasonable to include immaterial artworks in the current territory of contemporary art when their temporary prerequisites essential to letting them art are dissolved after the show?; which aspects are involved if we define them art? In this sense, the ground which makes arseum a piece of art is rather clear. When the reason why ars opens arseum for Minwook An and the intention of which An adopts the structure of classical painting exhibitions are combined, maybe-art finally becomes art.

 

<arsDO> takes an inverted-index structure encouraging the audience to approach the artist by appreciating the exhibited works, instead of accessing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through Minwook An. Summoning the ars project to the present moment is significant to discuss the relationship of art and daily life, and also to examine the borderline identity of Minwook An as a public-individual artist.

 

(translated by Jung Su)

Posted by ars2008 :